노란봉투법 뜻 쉽게 예시를 들어 설명해드릴께요.
오늘은 '노란봉투법'에 대해 아주 쉽게 예시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노란봉투법이란?
노란봉투법의 정식 명칭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일부개정법률안'입니다. 왜 '노란봉투'라고 부르냐면, 과거에 노동자들이 파업할 때 회사가 손해배상을 요구하는 법원 서류를 노란 봉투에 넣어 보냈기 때문이에요.
✔️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 - 노란봉투법 QnA 보기
고용노동부
노란봉투법 Q&A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 제대로 알려드립니다. 노동조합법 2,3조 개정안 제대로 알려드립니다. 노란봉투법 Q&A Q1 왜 개정해야 하는 것인가요? 개정안의 핵심은 권한과 책임의 일치
www.moel.go.kr
노란봉투법 현재 상황과 문제점
지금 우리나라에서는 노동자들이 파업을 하면, 회사가 "파업 때문에 손해를 봤다"며 노동자 개인에게 엄청난 돈을 배상하라고 요구할 수 있어요.
예시를 들어볼게요:
- 철도 노동자들이 임금 인상을 요구하며 파업을 했습니다
- 그러면 회사에서 "파업 때문에 하루에 10억원 손해를 봤다"고 주장해요
- 파업에 참여한 노동자 1000명에게 각각 100만원씩 배상하라고 요구하는 거죠
노란봉투법의 핵심 내용
이 법안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어요:
1. 손해배상 청구 제한
- 정당한 노동쟁의(파업) 때는 노동자 개인에게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없게 하는 것입니다
- 단, 고의로 시설을 파괴하거나 폭력을 쓴 경우는 예외에요
2. 쟁의행위 범위 확대
- 지금보다 더 다양한 형태의 파업을 인정하자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요
노란봉투법 - 쉬운 비유로 설명하면
학급 임원 선거에서 공약을 지키라고 학생들이 급식을 거부하는 시위를 했다고 생각해보세요. 지금 상황은 학교에서 "급식 거부로 음식이 남았으니 그 비용을 시위한 학생들이 개인적으로 배상해라"라고 하는 것과 비슷해요. 노란봉투법은 "정당한 시위라면 그런 배상을 요구하면 안 된다"는 취지입니다.
노란봉투법에 대한 찬반 의견
찬성하는 입장:
- 노동자의 기본권인 파업권을 보장해야 한다
- 과도한 손해배상 청구가 파업을 위축시킨다
반대하는 입장:
- 기업의 재산권도 보호해야 한다
- 무분별한 파업이 늘어날 수 있다
이처럼 노란봉투법은 노동자의 권리와 기업의 권리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가는 중요한 법안이에요. 앞으로도 많은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랍니다.
노란봉투법 최근 진행 상황
- 2025년 8월 24일, 국회 본회의에서 찬성 183명, 반대 3명이라는 압도적 표차로 '노란봉투법'이 통과됐습니다.
- 법안의 통과 직전까지 국민의힘 등 일부 야당은 무제한 토론(필리버스터)으로 통과를 저지하려 했으나, 더불어민주당 등의 주도로 표결이 이루어졌습니다.
- 법이 공포된 후 6개월의 유예 기간을 거쳐 시행될 예정이며, 시행 전까지 '현장 혼란 최소화'와 제도 정착을 위한 정부 후속조치가 남아 있습니다.
노란봉투법 주요 내용 및 변화
- 사용자(원청)의 하청노동자 교섭 의무 강화: 근로 조건 지배·결정에 실질적 영향력이 있는 이들도 교섭과 책임 주체에 포함됨.
- 정당한 파업 시 기업의 손해배상 청구 제한: 노동자 및 노조가 합법적 쟁의행위(파업)를 했을 때 과도한 손해배상을 요구할 수 없도록 규정.
- 쟁의행위(파업)의 인정 범위 확대: 기존 임금·근로조건 외에 구조조정, 해고 등 고용 안정 문제도 쟁의(파업) 사유에 포함.
- 작년에는 대통령 거부권(재의요구)으로 시행이 무산된 바 있으나, 올해엔 통과 이후 6개월 후 시행이 확정됨.
https://youtu.be/85OITY8N3Po?si=T5JzP6uxr0JfhIpS
'관공서 제도 혜택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하반기 전기이륜차 보조금 총정리: 시장 상인·산업단지에 추가 지원까지! (4) | 2025.08.14 |
---|---|
2025 KTX, SRT 추석 기차표 예매 일정, 예약 필수 팁!! (1) | 2025.08.10 |
서울청년문화패스 2025 ‘추가신청’ 놓친분들은 꼭 신청하세요! (2) | 2025.08.08 |
서울시 1인가구 전용 포털 "씽글벙글 서울" 을 아시나요? (4) | 2025.08.05 |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 신청 방법과 신청기간, 정부24와 주민센터 이용방법 (1) | 2025.06.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