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은 돈 330만 원?! 2025 근로장려금 지금 꼭 확인해야 할 신청 조건
근로장려금이란?
근로장려금은 일은 하지만 소득이 적은 근로자 또는 사업자에게 국가가 장려금을 지급하여 근로를 독려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제도입니다.
특히 단독가구, 홑벌이, 맞벌이 가구별로 지급 기준이 달라 신청 전 본인의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2025년 근로장려금 주요 변경사항
- 소득 기준 인상
- 단독가구: 2,200만 원 이하
- 홑벌이 가구: 3,200만 원 이하
- 맞벌이 가구: 4,400만 원 이하 (기존 3,800만 원 → 상향!)
- 최대 지급액
- 단독가구: 165만 원
- 홑벌이 가구: 285만 원
- 맞벌이 가구: 330만 원
- 지급 방식
- 반기 신청 가능: 상반기(3월), 하반기(9월)로 나뉘어 신청할 수 있음
2025년 근로장려금 신청 조건
근로장려금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소득이 낮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아래 4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 가구 유형별 총소득 기준을 충족할 것
- 부동산+금융재산 포함, 총 재산 2억 4천만 원 이하일 것
- 만 19세 이상(단독가구 기준)
예문:
- “나는 혼자 살고 있고 연 소득이 2천만 원이 안 돼요.” → 신청 가능!
- “부부 합산 소득이 4,300만 원인데 둘 다 일해요.” → 맞벌이 가구로 신청 가능!
아래에서 상세하게 알아볼테니 본인이 대상이 되는지 바로 확인해보시기 바래요.
1. 가구 유형별 소득 요건
근로장려금은 신청자의 '가구 형태'에 따라 소득 기준이 다르게 설정되어 있어요.
📌 꿀팁: 총급여뿐 아니라 사업소득(프리랜서, 자영업 포함)까지 모두 포함해 산정합니다.
2. 재산 기준 (2024년 6월 1일 기준)
- 가구원 모두의 재산 합산 금액이 2억 4천만 원 미만이어야 합니다.
- 재산에 포함되는 항목:
- 부동산: 주택, 토지, 상가
- 자동차
- 예금, 주식, 보험
- 전세보증금 등
📌 주의사항:
재산이 1억 4천만 원 이상인 경우, 지급액의 50%만 지급됩니다.
3. 가구 구성 요건
단독가구 | 1인 가구로서 배우자·자녀·부모가 없는 경우 |
홑벌이 가구 | 배우자나 부양가족은 있지만 한 명만 소득이 있는 경우 |
맞벌이 가구 | 배우자 모두 소득이 있는 경우로, 배우자 소득도 연 300만 원 이상이어야 함 |
📌 부양가족 기준:
자녀(18세 미만) 또는 70세 이상 부모님 등 소득금액이 100만 원 이하인 가족만 해당됩니다.
4. 기타 조건
- 신청 연도의 6월 1일 기준으로 대한민국 거주자여야 합니다.
- 기본공제를 받은 사람만 신청 가능합니다.
- 아래 항목에 해당되면 신청 불가:
- 전문직 종사자 (의사, 변호사, 세무사 등)
- 배우자 또는 본인이 신청 제외 사유가 있는 경우
- 예: 외국인 배우자, 혼인신고 전 동거 중 등
예시로 알아보는 신청 가능 여부
✅ 가능한 경우
- “프리랜서로 연 1,800만 원 벌고, 혼자 살고 있어요.” → 단독가구, 가능!
- “남편 혼자 일하고, 아이 둘을 키워요. 가구 소득은 3,000만 원이에요.” → 홑벌이 가구, 가능!
❌ 불가능한 경우
- “자산이 2억 5천만 원이 넘어요.” → 재산 기준 초과로 불가능
- “배우자와 모두 전문직이에요.” → 직업 제한으로 신청 불가
2025년 신청 기간 및 지급일
신청 방법
1. 모바일 홈택스 앱
2. PC 홈택스
3. ARS 자동 신청
- 국세청 콜센터(1544-9944)로 전화 → 주민번호 입력 → 신청 완료
내가 받을 수 있는 금액은?
근로장려금 계산은 가구 구성, 총 소득, 재산 수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 링크에서 쉽게 확인해 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실직 중인데 작년에 근로소득이 있어요. 신청 가능한가요?
A. 네, 근로소득이 있는 해의 소득 기준이 충족되면 가능합니다.
Q2. 자영업자도 신청할 수 있나요?
A. 네! 사업소득자, 프리랜서 모두 가능합니다.
Q3. 신청서 없이도 받을 수 있나요?
A. 일부 자동 신청 대상자는 안내 문자만으로도 신청 가능하지만, 신청 누락이 없도록 꼭 확인 후 직접 신청하시는 걸 추천드려요.
'관공서 제도 혜택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 수령나이, 출생연도별 정리, 노령연금 연기하면 얼마나 더 받을까? (0) | 2025.04.14 |
---|---|
국가장학금 신청대상, 신청기간, 대상, 필요서류/푸른등대 (0) | 2024.09.18 |
전입신고 인터넷 신청 신고, 준비물, 온라인 접수, 확정일자 부여 (0) | 2024.07.13 |
국세, 지방세 납부증명서, 완납증명서 발급 신청 인터넷 출력 (0) | 2024.07.12 |
청년 버팀목 전세 자금대출 쉽게 알아보기 (0) | 2024.06.01 |
댓글